서브 이미지

세미원 - 자료마당 - 세미원 식물정보

세미원 식물정보

언론속의 세미원
  • 개불알풀

    ㆍ장소
    ㆍ기간

    유럽 및 서남아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경작지 주변, 길가, 들판 등에서 흔하게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난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져서 아래쪽이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 10~40cm이다. 잎은 아래쪽에서는 마주나지만 위쪽에서는 어긋나며, 난상 원형으로 길이 7~18mm, 폭 6~15mm이고, 가장자리에 끝이 둔한 톱니가 3~5개씩 있다. 잎 양면은 털이 드문드문 난다. 꽃은 3~5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리며, 하늘색, 지름 7~10mm이다. 꽃자루는 길이 1~4cm이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4갈래로 갈라지는데, 아래쪽의 것이 조금 작다. 열매는 삭과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널리 퍼져 자라며, 유럽에 분포한다. 이 종은 개불알풀에 비해서 잎은 크며, 꽃은 청색 계열, 지름 7~10mm로 크고, 꽃자루는 1~4cm로서 크므로 구분된다.

  • 목련

    ㆍ장소
    ㆍ기간

    중국 원산이며 정원, 공원 등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낙엽성 큰키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15m 정도로 자라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다. 어린가지와 겨울눈에 눌린 털이 많다. 잎자루는 길이 1~2cm이다. 잎은 넓은 도란형으로 길이 8~15cm, 폭 4~11cm, 양면에 털이 있으나 차츰 없어진다.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종 모양, 흰색을 띤다. 꽃받침과 꽃잎은 서로 구분되지 않으며, 좁은 도란형으로 길이 7~8cm, 폭 3~4cm이고 퍼져서 벌어지지 않는다. 수술은 많으며, 나선상으로 배열한다. 열매는 취과, 길이 12~15cm의 장타원형, 7~10월에 적갈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상용으로 식재하며, 중국에 분포한다. 이 종은 꽃이 대개 활짝 열리지 않고, 꽃잎은 꽃받침과 구별되지 않으며, 꽃밥이 연한 자주색을 띠는 반면, 목련은 꽃이 대개 활짝 열리고, 꽃잎과 꽃받침이 명확히 구별되지만 꽃받침이 일찍 떨어지며, 꽃밥이 진한 적자색인 점에서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식재하며, 꽃봉오리는 약용한다. 흰가지꽃나무라고도 한다.

  • 산수유

    ㆍ장소
    ㆍ기간

    층층나무목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마을 주변, 민가 근처에 약용이나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낙엽 활엽 작은큰키나무 또는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5~12m,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가 오래되면 껍질 조각이 떨어진다. 잎자루는 길이 5~10mm이며,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길이 4~10cm, 폭 2~6cm,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앞면은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흰빛이 돌며, 양면에 털이 난다. 꽃은 3~4월에 피는데 20~30개가 산형꽃차례를 이루고, 지름 4~5mm, 노란색이다. 꽃자루는 가늘고, 길이 1cm쯤, 털이 난다. 열매는 핵과이며, 긴 타원형, 길이 1.0~1.5cm, 10월에 붉게 익는다. 산딸나무에 비해서 꽃은 잎보다 먼저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노란색이고, 열매는 타원형이므로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열매는 약재로 쓴다. 산시유나무, 산수유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식재한다. 원산지 중국에서는 숲 가장자리, 산 사면에 분포한다.

  • 봄맞이꽃

    ㆍ장소
    ㆍ기간

    들이나 햇빛이 잘 드는 경작지 및 숲 가장자리의 풀밭에 흔하게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10~15cm이다. 전체에 퍼진 털이 있다. 잎은 뿌리에서 10~30장이 나와 땅 위로 퍼지고, 심장형 또는 둥근 난형으로 길이와 폭이 각각 4~15m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2cm다. 꽃은 4~5월 피는데 잎 사이에서 난 꽃줄기 끝에 4~10개씩 산형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고, 지름 4~5mm다. 꽃받침과 꽃부리는 5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며, 둥글납작하고, 지름 4~5mm, 5월에 결실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미얀마, 베트남, 러시아 극동, 인도, 일본, 중국, 파키스탄, 필리핀 등에 분포한다. 줄기에 잎이 없는 점에서 잎이 있는 고산봄맞이와 구별된다. 또한 잎몸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만 있는 점에서 가장자리에 7~12개의 깊은 결각과 더불어 톱니가 있는 금강봄맞이와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봄마지꽃, 봄맞이라고도 한다.

  • 동백나무

    ㆍ장소
    ㆍ기간

    차나무목 차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해안가 산지에 자라는 상록소교목으로 높이 7m 정도이다. 수피는 회갈색이고 평활하며 소지는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점첨두, 넓은 예저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파상의 잔 톱니가 있으며 길이 5~12cm, 폭 3~7cm에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황록색이다. 엽병은 길이 2~15mm로 털이 없다. 꽃은 2~4월에 붉은색으로 피는데 1개씩 액생 또는 정생하며 화경이 없고 반 정도 벌어져 핀다. 소포는 둥글고 겉에 짧은 백색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로 길이 1~2cm의 난상 원형이며 꽃잎 5~7개가 밑에서 합쳐진다. 길이 3~5cm인 수술과도 합쳐진다. 수술은 많이 달리는데 수술대는 흰색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자방에 털이 없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삭과는 둥글고 지름 3~4cm로 3실이며 종자가 암갈색으로 익는다. 경상북도 울릉도와 남·서 해안 산지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 매화나무

    ㆍ장소
    ㆍ기간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관상용이나 과수로 정원이나 민가 근처에 식재하는 낙엽 작은큰키나무이다. 줄기는 암회색,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높이 5~9m쯤이고 어린가지는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4~10cm이다. 잎끝은 길게 뾰족하고 아래는 둥글며 가장자리는 예리한 잔 톱니가 있다. 꽃은 2~4월에 잎보다 먼저 피는데 전년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리며, 흰색 또는 분홍색이다. 향기가 강하다. 꽃받침잎은 둥글며, 길이 3~5mm이다. 꽃잎은 도란형이고 길이 9~14mm, 털이 없다. 수술은 많고 꽃잎보다 짧다. 씨방에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핵과, 둥글며 지름 2~3cm,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고, 6~7월에 녹색에서 노란색으로 익는다. 이 종은 열매 한쪽에 긴 홈이 있고, 털이 밀생하며, 씨가 과육에서 떨어지지 않는 점에서 열매에 털이 없는 자도나무, 씨가 과육에서 잘 떨어지는 살구나무류와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열매는 식용, 약용한다. 매화나무라고도 한다. 중국 서남부 원산이며 우리나라 중부 이남, 일본 등에서 식재한다.

  • 여름

    빅토리아 수련

    ㆍ장소
    ㆍ기간

    큰가시연꽃이라고도 한다. 잎은 물 위에 떠 있고 원 모양이며 지름이 90∼180cm로 어린아이가 잎 위에 앉아 있을 정도로 크고 가장자리가 약 15cm 높이로 위를 향해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잎 표면은 광택이 있는 녹색이고 뒷면은 짙은 붉은 색이며 가시 같은 털이 있다. 꽃은 여름철 저녁에 물위에서 피는데, 처음에는 흰색 또는 엷은 붉은 색이지만 2일째 저녁 때에는 차츰 변하여 짙은 붉은 색이 된다. 꽃의 지름은 25∼40cm이고 꽃잎이 많으며 향기가 있다. 종자는 크기가 완두콩과 비슷하고 어두운 녹색이다. 꽃과 잎의 관상 가치가 매우 높은 관상 식물이다.

  • 가을

    국화

    ㆍ장소
    ㆍ기간

    국화목 국화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1m쯤이며, 줄기 밑부분이 목질화되어 있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9~10월에 줄기 끝에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가운데는 관모양꽃, 주변부는 혀모양꽃이 있다. 혀모양꽃은 암술만 가진 단성꽃이며, 관모양꽃은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가진 양성꽃이다. 관상용으로 화단이나 화분에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감국과 구절초의 교배를 통해 개량화되었으며, 꽃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품종이 있다. 우리나라 남미 원산으로 우리나라 각지에서 널리 식재하며, 타이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 가을

    구절초

    ㆍ장소
    ㆍ기간

    국화목 국화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키 50~100cm 정도이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번식한다. 뿌리잎은 난형, 잎밑이 수평이거나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지며, 잎끝은 둔하다. 줄기에 달리는 잎은 매우 작고, 약간 깊게 갈라진다. 꽃은 7~11월에 머리모양꽃차례에 핀다. 머리모양꽃은 주위의 혀모양꽃과 중앙부의 통모양꽃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름 6~8cm이며, 혀모양꽃은 흰색 또는 분홍빛이 도는 흰색이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모인꽃싸개 조각은 3줄로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 8~11월에 익으며, 긴 타원형, 5개의 줄이 있다. 햇볕이 잘 드는 산지 숲 가장자리의 바위 지대부터 능선부의 바위 지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산구절초 및 가는잎구절초와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이들에 비해 잎의 결각이 얕게 갈라지고, 두상꽃차례의 크기가 큰 점에서 구분된다. 강장, 건위, 냉복통 등 다양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한약재로 쓰인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

  • 가을

    코스모스

    ㆍ장소
    ㆍ기간

    국화목 국화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줄기는 높이가 1.5m~2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2회 깃꼴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이다. 꽃은 6~10월에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지름 6cm 정도의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린다. 머리모양꽃은 6~8개의 혀모양꽃과 황색의 통모양꽃으로 구성된다. 혀모양꽃은 색깔이 연분홍색, 흰색, 붉은색 등 매우 다양하고 꽃잎의 끝은 톱니 모양으로 얕게 갈라지며, 관모양꽃은 꽃밥이 짙은 갈색이고 열매를 맺는다. 모인꽃싸개잎 조각은 2줄로 배열하고 달걀 모양의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열매는 수과이고 10월에 여물며, 털이 없고 끝이 부리 모양 돌기가 있다. 멕시코 원산의 귀화식물, 관상용으로 흔히 심고, 일부는 야생화하여 도로변, 공터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냉온대~난온대 지역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게시물 검색
Created by WISHWEB
홈페이지제작 / 홈페이지제작업체 / 웹사이트제작 / 기업홈페이지제작 / 반응형홈페이지제작/ 회사홈페이지제작 / 홈페이지리뉴얼 / 중소기업홈페이지제작 / 사이트제작 / 홈페이지구축 / 홈페이지개편 / 홈페이지제작회사 / 홈페이지제작업체추천 / 홈페이지업체 / 홈피제작 / 회사홈페이지제작업체 / 홈페이지제작추천 / 반응형웹사이트제작 / 기업사이트제작 / 사이트제작업체 / 홈페이지제작대행 / 홈페이지의뢰 / 저가홈페이지제작 / 저가형홈페이지제작 / 하남홈페이지제작 / 하남시홈페이지제작 / 강동구홈페이지제작 / 송파구홈페이지제작 / 광진구홈페이지제작 / 성남홈페이지제작 / 성남시홈페이지제작 / 구리홈페이지제작 / 구리시홈페이지제작 / 인천홈페이지제작 / 부산홈페이지제작 / 대구홈페이지제작 / 대전홈페이지제작 / 광주홈페이지제작 / 전주홈페이지제작홈페이지제작비용웹사이트제작비용홈페이지제작견적홈페이지제작비홈페이지구축비용저렴한홈페이지제작홈페이지제작단가홈페이지관리홈페이지수정홈페이지유지보수템플릿홈페이지제작맞춤홈페이지제작분양홈페이지제작제조업홈페이지제작금융홈페이지제작제품홈페이지제작병원홈페이지제작세무사홈페이지제작태양광홈페이지제작IT홈페이지제작무역홈페이지제작건설홈페이지제작자동차홈페이지제작바이오홈페이지제작리서치홈페이지제작화장품홈페이지제작가구홈페이지제작인테리어홈페이지제작학원홈페이지제작광고홈페이지제작교육홈페이지제작식품홈페이지제작공공기관홈페이지제작뷰티홈페이지제작AI홈페이지제작